블로그 이미지
제가 하고 싶어 하는 일을 하나씩 하며 이야기를 나누고 싶습니다. 우선 책을 읽고 느꼈던 것을 같이 공유하고 싶습니다. 시간은신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582)
책이야기 (559)
여러가지 이야기 (16)
세계일주 준비 중 (2)
여행 (2)
Total
Today
Yesterday

달력

« » 2025.7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역사를 생각하면 학창시절 국사가 생각나는데요. 저는 국사는 무조건 외우는 과목이라고 생각했고 암기를 잘 못했던 저는 국사를 점점 싫어하게 되었어요. 그래서 역사에 큰 관심이 없었는데 여러 책을 읽다보니 무엇이든 역사를 아는게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어요. 예를 들면 향수의 역사를 알게 되면 남들이 사용하니까 덩달아 사용했던 향수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고 제가 사용할지 안 할지를 결정할 수 있는 판단력이 생기더라구요. 잘 모르기 때문에 남들처럼 따라 살게 되는거라는 걸 깨달았어요. 뭐든 제대로 알고 있어야 제가 판단 할 수 있더라구요. 그러기 위해서 역사를 아는 게 무엇보다 중요한 것 같아요.

 

제가 마당있는 주택에 살고 있는데 전 아무생각없이 남들 다하니까 마당에 잔디를 깔았어요. 그런데 우연히 잔디의 역사에 대해서 알게 되었어요. 제가 잔디의 역사를 먼저 알았다면 저희 집 마당에 잔디를 깔지 않았을 거예요. 이미 깐 잔디를 다 파헤칠 수 없어 그냥 살고 있지만 이와 같이 역사를 모를 때 잘못된 판단을 하는 것 같아요.

 

역사를 공부하려던 차에 조선시대 역사를 쉽게 쓴 책을 알게 되었어요. 설민석씨는 무한도전에 출현해 매우 유명해졌잖아요. 책을 봤는데 정말 재밌게 술술 읽히더라구요. 괜히 유명하신게 아니더군요. 저처럼 역사에 무지한 사람도 쉽게 읽을 수 있는 책이에요. 조선 건국이야기가 제일 흥미로웠어요. 또 세종대왕이 성군이라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좀 더 자세히 어떤 점에서 성군이었는지 알게 되었어요. 과거나 현재나 리더가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게 되었어요. 한 사람의 지도자가 얼마나 중요한지는 현재 대한민국에서 일어나는 일만으로도 충분하죠. 6백년 전에도 훌륭한 임금이 있을 때는 백성들이 잘 살 수 있었고 그렇지 않은 임금이 있을 때는 백성도 힘들었는데 역사는 정말 반복되나봐요.

 

조선시대역사가 재밌어서 다른 역사책도 더 보고싶네요. 저처럼 처음 역사책을 보시는 분들께 추천합니다.

Posted by 시간은신
, |

 

필요가 아닌 욕망으로 소비생활이 습관이 되었던 나를 돌아보게한 책이다.

6년전 쯤 읽게 된 이 책은 내 삶의 패턴을 완전히 바꿔놓았다. 왜 그렇게 남들보다 먼저 유행을 앞서 나가며 옷이란 옷은 다사고 신발이나 악세사리, 헤어스타일 등 새로운 걸  다 가져야겠다는 생각을 했는지 알게 된 책이다. 다 내 생각이 아니었고 미디어에 의해서 만들어진 욕망이었다는 사실을 알고 내가 바보가 된 기분이었다. 그 쯤 우리집에서 tv를 치웠다. 만 5년정도 tv없는 생활을 하고 있는데 장점이 나열할 수 없을 정도로 많다.

367쪽 산업자본주의가 열어놓은 소비사회는 인간에게 자유와 평등을 실현시켜준 듯 보입니다. 물론 그것은 소비의 자유이면서 욕망의 평등일 뿐이지만 말입니다. (중략)그러나 우리가 느끼는 자유와 욕망에는 치명적인 난점이 하나 존재합니다. 그것은 바로 돈입니다. (중략) 상품과의 관계에서는 주인으로서 자유를 만끽하지만, 그 이면의 돈과의 관계에서는 무기력한 노예로서의 삶을 살아가니까요.

지인께서 자유롭고 싶으면 먼저 마이너스 통장을 없애라고 조언을 해주셨다. 마이너스 통장을 잠깐 써보니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상황에서도 마이너스 통장이 없으면 불안같은게 느껴졌다. 한 번 사용이 어렵지 마이너스 통장은 소비를 무감각하게 만드는것 같다. 돈이 우리에게 많은 자유를 줄 것같은 착각이 들지만 결국 우리는 돈의 노예로 살아가고 있지 않은지 돌아볼 일이다.

Posted by 시간은신
, |

 

지금까지 나라고 생각하며 살았던 나는 에고였을뿐이라고 한다.

에고를 알아차리는 순간 에고는 사라진다고 한다.

에고가 좋아하는건 상대를 통한 우월감이고 나는 옳고 상대는 그르다는 생각을 먹고 에고가 자란다고 한다.

끝없이 생각하는 나는 진짜 내가 아니라 에고였다는 것이다

난 늘 끊임없이 생각을 하고 또 한다. 생각하는 시간이 부족해서 티비도 잘 안보려고 한다. 그런데 그 생각이 전부 에고 덩어리였다니 너무 놀라운 책이다 .

내 안의 어떤 두려움을 피하기 위해 난 이렇게 살고 있는지 생각해봤다.

특별해 지고 싶은 마음은 어디서 나오는 걸까? 그냥 존재로서 나도 괜찮은 사람이라는 생각은 왜 안드는 걸까?

뭔가를 성취해야만 내가 잘 살아가는게 아닌데 존재 자체로 스스로 인정을 못하는 이유는 뭘까?

 

47쪽 자기의 '머릿속 목소리'가 실은 자신이 아님을 깨닫는 것은 이루 말할 수 없는 자유이다. 그렇다면 자신은 누구인가? 자신은 생각하는 자신을 보고 있는 사람이다.

 

이 자유를 누리고 싶다. 너무 좋은 글귀와 생각할 거리가 많아서 일일이 다 쓰지 못하겠다.

매일 옆에 두고 조금씩 생각하며 읽고 싶은 책이다.

'책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민석의 조선왕조실록  (0) 2018.04.09
상처받지 않을 권리-강신주  (0) 2018.04.05
82년생 김지영 - 조남주  (0) 2018.04.04
나는 나로 살기로 했다 -김수현  (0) 2018.03.26
매일 아침 써봤니? -김민식  (0) 2018.03.24
Posted by 시간은신
, |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