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제가 하고 싶어 하는 일을 하나씩 하며 이야기를 나누고 싶습니다. 우선 책을 읽고 느꼈던 것을 같이 공유하고 싶습니다. 시간은신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583)
책이야기 (560)
여러가지 이야기 (16)
세계일주 준비 중 (2)
여행 (2)
Total
Today
Yesterday

달력

« » 2025.7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예비작가를 위한 책 쓰기의 모든 것

 


17쪽 아이슬란드에서는 책을 한 권 이상 출간한 사람이 전체 인구의 10퍼센트나 된다고 한다.

21쪽 산문 작가를 꿈꾸는 분들께 내가 제안하는 목표는 ‘한 주제로 200자 원고지 600매 쓰기’다.

 

 

23쪽 ‘작가’가 아니라 ‘저자’를 목표로 삼으라는 게 내 조언이다.

 

40쪽 중년에 이르러 허무함을 못 견디겠다며 뒤늦게 일탈하는 이도 있다. 그런 정체성 위기는 자기 인생의 의미, 자신이 만들어내는 일의 가치를 확신하지 못할 때 온다고 생각한다. 인간에게는 '지금 내가 의미 있는 것을 만들어내고 있다'는 감각이 필요하다. 고도로 분업화된 현대사회에서 개인이 그 감각을 얻기는 매우 힘들다. 주어지는 일이 하찮고, 손댈 수 있는 범위가 좁다. <중략> 훨씬 더 빠르고 직접적인 해답이 있다. 창작이다. 글을 쓰고 그림을 그리고 노래를 만들자. 공들여서 하자. 빨리 시작하자. 

 

48쪽 왜 유독 책을 쓰는 일에 대해서는 "그거 써서 뭐 하려고?" 하고 스스로 묻고 "내가 그런다고 베스트셀러 작가가 될 수 있을까?"라며 자기 검열에 빠지는 걸까. 그냥 내가 좋아서 쓴다는 이유로는 부족한 걸까. 책 쓰기의 목적이 나 자신이어서는 안 되는 걸까. <중략> ' 자격 있는 사람만 책을 낼 수 있다'는 은근한 분위기는 이미 책을 낸 기성작가들과, 작가를 선망할 뿐 글을 쓰지 않는 사람들이 함께 만드는 허구다.

 

50쪽 나 자신을 위해, 의미를 만들어내느 기쁨을 위해 쓰자. 글자와 문장, 그리고 다른 누구도 아닌 나의 생각에 집중하자. 그렇게 쓸 때 더 좋은 글이 나온다. 그리고 더 즐겁기도 하다. 

 

90쪽 영감은 신기한 곳에서 신기한 것을 보는 데서 얻을 수도 있지만, 평범한 걸 신기하게 봐서 얻을 수도 있다. <중략> 그렇다면 '신기하다'는 표현을 '부조리하다, 비상식적이다, 말이 안 된다'로 바꿔보자. 회사나 학교에서 만나는 사람들이 모두 조리 있고 상식적인 사람들인가? 당신이 속한 팀이나 대한민국 사회에서는 말이 되는 일들만 벌어졌나? 아니라면 그에 대해 써보자. 

 

에세이 쓰기

 

98쪽 '세상에서 나만이 쓸 수있는 이야기는 무엇인가'를 고민하는 것이다.

 

작가님은 자신의 직업에 대해 글쓰기를 해보는 것을 추천하다. 10년 이상 일해 왔다면 내 직업대 대한 나만의 의견과 태도가 있을 것이고, 그런 견해를 갖게 된 이유와 그런 태도가 나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라고 한다. 

 

솔직한 글을 쓰고 싶다면 욕 먹는 데  대한 두려움, 자신을 뽐내고 싶은 욕심, 교훈과 감동에 대한 집착을 버려야 한다고 한다. 에세이에 결론이 없어도 좋다고 한다. 

 

118쪽 좋아하는 영화 1-5위와 이유를 딱 두 줄씩이라도 써보라. 자신이 어디에 가치를 부여하는지, 결국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전보다 더 잘 알게 된다. 

 

좋아하는 책 다섯 권도 영화처럼 순위와 이유를 생각해 보라고 한다. 어렵다. 

 

125쪽 삶을 사랑하는 태도를 지녀야 좋은 에세이를 쓸 수 있지만, 동시에 에세이를 쓸수록 삶을 사랑하는 자세를 몸에 익히게 된다. 

 


내 공허함, 외로움, 고독을 피하기 위해 책을 써보고 싶다.




Posted by 시간은신
, |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