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제가 하고 싶어 하는 일을 하나씩 하며 이야기를 나누고 싶습니다. 우선 책을 읽고 느꼈던 것을 같이 공유하고 싶습니다. 시간은신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583)
책이야기 (560)
여러가지 이야기 (16)
세계일주 준비 중 (2)
여행 (2)
Total
Today
Yesterday

달력

« » 2025.7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미영샘이 빌려주신 책이다.
북유럽의 어느 나라는 남의 승리를 보며 기뻐하고 성취감을 느끼는 감정에 대한 단어가 있다고 하셨다. 우리나라엔 왜 그런 단어가 없을까? 라고 대화나누던 중 샘이 이 책을 추천해주셨다. 벼농사국가에서 생겨난 문화때문이라는 저자의 말에 설득되었다고 하신다. 나도 질투하면 따라올자가 없는 사람이어서 더욱 이 책에 끌렸다.
밀농사와 벼농사 국가들의 문화는 얼마나 다를까?
밀농사는 씨만 뿌려놓으면 날씨에 따라 농사가 좌우된다고 한다. 벼농사에 비해서 사람들과 협동해서 일을 할 필요가 없는 농사법이라고 한다. 벼농사는 마을에서 이장부터 남자들이 모여 품앗이를 해야 가능한 농사이다보니 일의 전수 과정, 일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인간관계가 아주 복잡하다. 그 문화가 그대로 산업화시대로 흡수되었다고 한다. 연공서열이 그 대표적 예다. 우리는 내 동료와 능력이 평등하다고 착각하고 동등한 대우를 받기를 원하고 누군가 더 좋은 대우를 받으면 질투를 한다고 한다. 너와 내가 같다고 착각하게 만든 게 벼농사 시절부터 만들어진 디엔에이라고 하니 책을 읽다보면 이해가 된다. 조금이라도 더 많은 성과를 내기 위해 자식농사도 벼농사처럼 알아서 사교육도 시켜가며 가장 많은 수확물을 얻기 위해 애쓰며 살아간다고 한다. 이렇게 뿌리깊은 문화가 달라지긴 어려울 것 같다. 보편복지로 가는 길이 더 어렵게 느껴진다.
178 쪽 벼농사 체제의 수확량 경쟁은 동료와 친구, 친척의 연봉을 확인하고 자신의 것이 얼마나 처지는지, 앞서는지를 비교하고 질시하는 문화를 만들어낸다. 똑같이 시작했는데 왜 자심은 뒤처지는지릉 한탄하고, 남보다 앞서는 데서 행복감을 찾는다.
181평판도에 대한 동아시아인들의 집착은 산업사회의 각종 관료제 조직에서도 그대로 작동된다.

Posted by 시간은신
, |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